금리 인상과 주택 공급 부족 등으로 주택 렌트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비로 지출하고 있으며 뉴욕의 경우 68%에 달하는 비용을 렌트비로 지출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평균 소득 대비 렌트비 비율이 전년 대비 1.5% 증가하면서 이 업체가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 20여 년 만에 처음으로 30%를 찍었습니다. 연방정부는 소득의 30% 이상을 렌트비로 지출하는 가구를 ‘월세 과부담’으로 정의하는데 이제는 미국의 평균 세입자가 이 범주에 속하는 것입니다. 이미 여러 도시에서는 소득의 30% 이상을 월세로 쓰는 게 오랫동안 일반적인 현상이었지만, 전국 단위에서도 30%를 넘은 것은 많은 이들이 더는 주거비를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최근 연준의 거듭된 금리 인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른 탓에 많은 가구가 주택 구매를 포기했고, 세입자들이 아파트로 몰리면서 아파트 렌트비가 급등했습니다. 근본적으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택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계속되면서 주택 구매가격과 월세가 꾸준히 올랐습니다. 그러나 소득은 월세만큼 빠르게 오르지 못하면서 저·중소득 가구에서는 소득 대비 월세 비율이 40%를 넘었습니다. 소득 대비 월세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는 뉴욕으로 소득의 68.5%를 월세로 지출했고, 그다음은 마이애미 41.6%, 포트로더데일 36.7%, 로스앤젤레스 35.6%, 팜비치 33.6% 등 순입니다.